예수금이란 D+1 D+2 증거금이란 무엇인지 주식을 막 시작하신 분들은 잘 모르실 수도 있기때문에 정보를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간단하게 말해 예수금이란 주식 계좌에 내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즉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금액이 바로 예수금의 뜻이됩니다.
그렇다면 증거금이란 무엇인지, 알수록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먼저 예수금 뜻을 정리한 후 차근차근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수금이란 (D+1 D+2) 증거금이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예수금이란
주식을 시작하려면 증권사에서 계좌를 만들어야 하고 해당 계좌에는 주식 투자에 쓸 자금을 넣어두게 됩니다. 이를 예수금이라고 하는데요, 만약 계좌에 100만원을 넣어 두셨다면 이 돈이 예수금이란 말이 됩니다. 그런데 계좌에 표시된 내용을 보다보면 D+1, D+2라는 말이 있어 무슨 뜻인지 궁금증이 생기실 수도 있습니다.
D는 거래가 이루어진 날을 뜻하며 D데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거래가 이루어진 다음 날을 D+1이라고 표시하게 되며 D+2는 결제가 이루어지는 날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이 헷갈릴 수도 있는 부분인데요, 주식을 매수하든 매도하든 주문을 넣어 체결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실제 투자금이 계좌에서 움직이는 것은 그로부터 이틀 뒤가 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가지고 있는 현금이 100만원인데 주식을 사는데 50만 원을 썼다면 D+1에는 100만 원이라고 표시가 되고 D+2에는 50만원이라고 표시가 되는 겁니다.
D+1예수금, D+2예수금이란
편하게 생각하면 우리가 주식거래를 하려고 증권계좌에 넣어둔 돈인 예수금은 주식 거래 전 지갑에 넣어둔 돈이라고 보면 되고 이 예수금에 예수금, D+1예수금, D+2예수금 3종류가 있는 셈입니다.
D+1예수금은 말 그대로 하루 지나 뺄 수 있다는 뜻이 되고, D+2예수금은 이틀 후 뺄 수 있다는 얘기가 되는데 여기서 주의할 점은 기준이 영업일이라는 겁니다. 그래서 금요일에 거래를 했다면 주말을 제외한 월요일과 화요일로 영업일을 기준으로 따져야 합니다.
주식에서 예수금 차이나는 이유
우리가 오프라인으로 물건을 사고팔 때엔 그 자리에서 현금을 주고 바로 물건을 받지만 주식은 거래가 단박에 이뤄지지 않고 3영업일이 걸립니다. 그리고 그 이유는 주식거래 결제 시스템상 한국예탁결제원이란 곳을 거쳐 진행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두지 않고 거래를 하다 곤란한 경우가 생길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즉 주식시장에서는 거래가 이루어진 날부터 3일째가 되는 날에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까 말씀드린 예시대로라면 D+1에는 100만 원, D+2에는 결제가 이루어진 당일이기 때문에 50만 원이 빠져나가서 50만 원이라고 표시가 되는 거죠.
증거금이란
대신 매수한 당일에는 일종의 보증금처럼 일부 금액이 먼저 계좌에서 빠져나가게 되는데요, 이를 증거금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을 사려고 종목을 검색하면 그 옆에 '증'이란 작은 글씨와 숫자가 써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이를 증거금 비율이라고 하는데요.
우리가 주식을 살 때 한 번에 돈을 다 내는 것이 아니고 처음에 계약금처럼 일정 비율만큼 먼저 지불을 하게 되어 있는데 이 ‘증’이라는 글자가 그 계약금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남은 잔액은 3영업일째에 치르도록 되어 있는데요, 참고로 증거금은 종목마다, 그리고 증권사 마다 다르니 거래 전에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예시로 10만원짜리 주식 1주를 사려는데 증거금이 100%라고 되어 있다면 당일에 50만원을 모두 지불하라는 말이고 증 30이라 써있다면 매수 주문을 걸었을 때 첫날 3만원이 빠져나가고 이틀 후 남은 7만원이 자동 결제가 되는겁니다.
거래 첫날 주식을 샀는데도 계좌에 꽤 돈이 남아있다며 다른 주식도 이것저것 사들였다가는 이틀 뒤 잔액이 빠져나가야 할 때 막상 돈이 부족해 당황하게 될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드시 나중에 빠져나갈 잔액까지 계산하셔야 합니다.
예수금 증거금 주식 팔 때
반대로 주식을 팔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식을 팔고 은행계좌로 투자금을 옮기려는데 잔고가 없다고 해서 당황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매도 주문을 걸어 체결이 되어도 그 돈을 바로 쓸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주식을 살때와는 반대의 순서로 그 돈은 D+2예수금이 되고, D+1예수금을 거쳐 예수금이 되면 은행계좌로 옮겨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D+2예수금은 2영업일 뒤에, D+1예수금은 1영업일 뒤에 찾을 수 있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예수금이란 무슨 뜻인지, 그리고 증거금이란 뭔지, D+1예수금과 D+2 예수금까지 정리해 봤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예수금과 현금인출가능 금액을 다르게 나오며 이틀을 기다려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네요.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는 수수료나 세금도 제외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은 3거래일이라는 것을 공식처럼 기억하시고 앞으로 주식거래를 하시는데 예수금과 증거금 뜻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큐레터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 청약 일정 상장 분석 (0) | 2023.08.12 |
---|---|
2차전지 관련주 대장주 전망 총정리 (0) | 2023.08.05 |
초전도체 관련주 총정리 (상온 초전도체란?) (1) | 2023.07.29 |
엔비디아 관련주 주가 전망 분석 (2023년) (0) | 2023.07.19 |
타이타닉호의 비극 (0) | 2023.02.20 |